
취준 TIP
합격 포트폴리오 만드는 법|성과와 수치를 표현하는 5가지 팁
2025. 10. 24 작성
성과와 수치를 표현하는 5가지 팁
목차
- 포트폴리오에 수치가 필요한가요?
- 정량적 수치 VS 정성적 수치
- 포트폴리오에는 이런 수치를 넣어라
- 경험에서 수치 뽑아내기
- 숫자로 구체성을 더하라
- 포트폴리오에서 수치를 표현할 때의 주의점
1.포트폴리오에 수치가 필요한가요?
포트폴리오 만드는 법을 찾아보면 “성과를 수치로 보여주세요.”라는 말을 자주 보죠.
이건 자기소개서뿐만 아니라 포트폴리오에도 똑같이 적용돼요.
이력서에 한 줄로 적은 성과를, 포트폴리오에서는 ‘어떻게 만들어냈는지’ 보여줘야 해요.
“눈에 띄는 결과가 없는데요?” 싶을 수도 있지만 괜찮아요.
중요한 건 크게 만든 결과가 아니라, 작은 일이라도 근거를 가지고 설명하는 과정이에요.
인사담당자는 숫자의 크기보다 결과를 만들기 위한 과정과 논리성을 봐요.
그래서 수치는 단순한 성과가 아니라, 포트폴리오 속에서 신뢰를 쌓는 언어로 작용해요.
2.정량적 수치 vs 정성적 수치
수치는 크게 정량적/정성적 수치 두 가지예요.
정량적 수치는 클릭률, 전환율, 방문자 수처럼 ‘측정 가능한 지표’
정성적 수치는 만족도, 피드백 수, NPS처럼 감정·의견을 수치화한 지표예요.
숫자는 단순히 결과뿐 아니라 과정의 명확함과 개선의 정도를 보여주는 장치로 쓰여요.
3.포트폴리오에는 이런 수치를 넣어라
모든 걸 수치로 표현할 필요는 없어요. 의미가 보이는 수치, 즉 ‘인사이트가 담긴 숫자’를 선택해야 해요.

포트폴리오 수치 예시
이런 표현은 단순히 결과가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했는가”를 보여주요.
결과가 크지 않아도 과정 속 숫자엔 충분한 설득력이 있어요.
4.경험에서 수치 뽑아내기
수치는 결과에서만 나오는 게 아니에요.
시작, 중간, 개선, 협업 과정 어디에나 숨어 있어요.

포트폴리오 경험에서 수치 뽑기
이런 숫자들은 결과보다 맥락과 실행력을 보여줘요.
작은 숫자라도 “왜 이렇게 변했는가”를 설명하면 그게 곧 사고력의 증거가 될 수 있어요.
👉🏻[경험에서 뽑은 수치로 해드카피 쓰기]
5.포트폴리오에서 수치를 표현할 때의 주의점
✅ 비율(%)로 표현하기
절대값은 대외비로 여겨질 수 있어요.
“CPI를 4,000원→2,000원”보다 “CPI 24% 개선”처럼 상대적으로 쓰세요.
✅ 툴 숙련도는 행동으로 표현하기
“엑셀 80% 활용”보다
“피벗차트·VLOOKUP 함수로 데이터 자동 분류”처럼 구체적으로!
✅ 툴 조합은 과정 중심으로
“Python과 SQL로 데이터 세트를 분석하고 Tableau로 시각화했습니다.”
정량적 결과 + 정성적 표현을 함께 써야 자연스러워요.
숫자는 단순한 결과의 표시가 아니라,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한 과정의 흔적이에요.
작은 수치라도, 그 숫자를 만들어내기까지의 논리를 보여줄 수 있다면 그 자체로 설득력 있는 포트폴리오가 될 거예요.
✨함께 읽으면 포트폴리오 정복 가능!







